|
|
|
 |
|
 |
|
|
 |
 |
 |
기독교식 |
 |
임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故人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음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후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
 |
천주교식 |
 |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故人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음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다음 준비된 향(긴막대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끈다.(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는다.)
한쪽 무릎을 꿇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 걸음 뒤로 물러서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향나무의 가루 향으로 만들어진 향은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어서 오른손을 왼손으로 받치고 향로(향불)에 공손히 넣는다. |
 |
 |
불교식(유교식포함) |
 |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한 다음,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준비된 향(긴막대향)을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끄고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는다.)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걸음 뒤로 물러나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최근에는 문상객 위주가 아닌 상가 댁 위주의 문상예절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가의 상황에 맞는 문상예절을 하여야 한다.
※ 헌화방법
평소에 물건을 전 할때 받는 사람이 받기 쉽도록 꽃의 머리부분이 드리는 사람을 향하게 하고 꽃대 줄기가 故人쪽을 향하게 드려야 한다. |
|
 |
|
|
 |
 |
|
|
|
문상을 가서 어떤 위로의 말을 해야 할지 몰라 망설인다. 실제 조문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관계에 따라 다양하다.
보통은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가 좋다.
상주는 상중에는 항상 죄인이므로 "고맙습니다",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고 문상 온 사람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
|
 |
 |
 |
① 상주,상제의 부모인 경우
|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상사란? (생각하고 그리워 하는 것)
망극이란? (어버이의 은혜가 그지없다는 뜻) |
 |
|
 |
 |
|
|
생시에 故人과 안면이 없거나 故人보다 나이가 많으면 영정 앞에 절하지 않고 상주에게만
문상한다.
영정 앞에 절하는 것은 조상, 상주에게 인사하는 것은 문상이라 한다.
따라서 조문이란 조상과 문상을 일컫는 말이기 때문에 조문 간다는 말이 옳은 것이다. |
|
|
제수의 진설법은 지방과 가문에 따라 조금씩 달라 "남의 집 제사상에 감놔라 배놔라"한다는
속설이 있지만 상차림의 기본원칙은 공통적이며, 관행적으로 지켜 오는 격식이 있다.
제사에
는 영정 또는 신위가 놓인 곳을 북쪽으로 한다. 장소의 형편상 북쪽이 아닌 곳에 제사상을
차렸더라도 제사상이 있는 곳을 북쪽으로 정한다.
* 영정, 신위 등을 북쪽에 모시는 이유는? 귀신을 다스리는 신이 북쪽에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
|
 |
 |
 |
가. 제수에 탕(끓인 국)을 놓게 되면 진설을 5열로 배열한다 .
|
|
①밥과 국의 위치 :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이다.
②남자 · 여자조상의 위치 : 남자조상은 서쪽, 여자조상은 동쪽이라는 뜻이다.
남자조상은 밥,국,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는 오른쪽에 놓는다. (제사자의 입장에서 볼때) |
 |
 |
나. 생선과 고기의 위치
|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
 |
다. 머리, 꼬리의 위치
|
|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머리는 오른쪽으로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놓는다. (제사자의 입장에서 볼 때)
|
 |
 |
바. 첫째 줄에는 과일 이외의 조과(유과,약과)등을 홀수로 진설한다.
|
 |
 |
사. 둘째 줄에는 나물을 놓는데 홀수로 진설한다.
|
 |
 |
아. 셋째 줄에는 탕(끓인 국)을 진설 하는데 1,3,5,7 홀수로 놓는다.
|
 |
 |
자. 어탕은 동쪽, 육탕은 서쪽에 위치하며 고추가루는 전혀 쓰지 않고 건더기만 담고,국물은
거의 담지 않는다.
|
 |
 |
차. 넷째 줄은 불에 굽거나 찐 음식인 적(부침) 과 기름에 튀긴 전을 놓는다.
|
 |
 |
카. 다섯째 줄은 : 밥과 국을 놓는다.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에 놓는다)
|
 |
 |
아. 셋째 줄에는 탕(끓인 국)을 진설 하는데 1,3,5,7 홀수로 놓는다. |
 |
 |
타. 전과 상식 |
|
① 전 : 일단 빈소를 차린 후 영정 앞에 제물을 차리는데 이를 전을 올린다고 말하고, 이는 입관 전까지는 故人을 살아 있을 때와 같이 모신다는 뜻이며 떠도는 혼령을 위로 하기 위함이다.
② 상식 : 朝夕으로 故人에게 차려 올리는 음식을 말하며, 입관 후 성복이 끝나면 상식을 올린다.
* 성복이란 ? 입관 후 상복을 입는 것을 말한다. |
 |
|
|
 |
 |
|
(1) 장자가 상주가 되고,
(2) 장자가 죽고 없으면 장손이 상주가 된다.
(3) 아들이 죽으면 장성한 손자가 있더라도 부(父)가 상주가 되고,
(4) 아내가 죽으면 남편이 상주가 된다.
(5) 처가나 친정 식구는 상주가 되지 못한다.
(6) 원칙적으로 죽은 이가 속한 가정의 가장이 상주가 된다. |
|
|
|
|
 |
 |
태극기를 관보로 사용시 관의 상(上, 머리 쪽)의 왼쪽부터 시작해서 건괘, 이괘, 곤괘, 감괘
순으로 棺을 덮는다.
|
|
 |
 |
|
 |
 |
입관시 故人의 입안에 쌀과 진주 혹은 엽전을 넣어 주는 것을 말하는데, 상주는 입 오른쪽에 쌀을 떠 넣으며 "백석이요", 왼쪽에 넣으며 "천석 이요", 마지막 중앙에 넣으며 "만석이요" 외친다. 쌀을 넣는 수저는 버드나무를 사용하였다.
동전도 입 오른쪽에 넣으며 "백냥이요", 왼쪽에 넣으며 "천냥이요", 중앙에 넣으며 "만냥이요" 외친다.
진주는 입술에 살짝 물려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례사가 선창을 하고 상주가 복창하기도 한다.
※ 쌀, 진주, 동전을 넣는 의미는?
고인의 입을 비워 둘 수가 없어 입을 허하게 하지 않으려는 효심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
|
 |
 |
|
|
 |
 |
[임종 후 준비서류]
 |
가. 사망진단서 |
|
고인의 주민등록증 및 국민건강보험증을 가지고 병원 원무과에서 발급(7부) 받는다.
제출처 : 장례식장, 주민자치센터, 화장장,장지 등.
※ 사망진단서에 외인사, 기타 및 불상인 경우는 사망장소의 관할경찰서에 신고하여 경찰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 입관 전까지 진단서와 경찰에서 발급해준 검시필증을 반드시 제출하여야 한다. |
 |
 |
나. 인우보증서 |
|
자연사 혹은 노환에 의한 사망이 확실한 때는 사망진단서를 인우보증서로 대신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주민자치센터에 비치된 인우보증서 양식으로 2명의 보증인을 세운다.
* 보증인은 통장과 가족을 제외한 사람이면 된다.
② 통장의 재직증명서와 보증인 2명의 인감증명서를 첨부 하면 사망
* 진단서와 동일한 효과를 지니게 된다. |
 |
|
 |
 |
|
 |
 |
 |
가. 완장(남자 착용)
|
 |
완장은 삼베로 만들어 졌으며, 검은 색의 줄이 그어져 있는데, 당원 장례식장에서는 두 줄과 한 줄
그리고 무 줄이 있다.
①두줄 : 아들과 사위, 아들이 없을 시에는 장손이 착용한다.
②한줄 : 기혼인 복인(반드시 상복을 입지 않고 완장만 착용을 해도 복인이 된다.)
③무줄 : 미혼인 복인 (주로 손자들이 착용하게 된다.)
* 복인은 : 부(父)계 8촌, 모(母)계 4촌까지로 한다.
※ 완장의 사용시기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가정의례준칙이 나오면서 굴건 제복 대신 상주임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가 되어 직계와 비속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으로 줄을 넣고 넣지 않음으로 구분하게 되었다.
|
 |
 |
나. 리본(여자 착용)
|
 |
무명천으로 만들어진 머린 핀을 말한다.
①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
②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
|
 |
 |
다. 상장(남,여 착용)
|
 |
장례를 마친 후 상을 당했다는 표시를 하는 것을 말한다.
① 남자는 삼베로 만든 리본을 왼쪽 가슴에 부착한다.
② 여자는 무명천으로 만든 리본(머리핀)을,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머리 ,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
* 상장은 장례를 마친 후 탈상 때까지 직계가족만 착용한다. |
 |
|
|
 |
 |
|
|
|
 |
 |
 |
무명천이나 광목 천으로 만든 두루마기를 착용하는데, 입관하기 전에는 남좌여우의 격식에 따라 故人이 남자일 경우는 왼쪽 팔을 내어 놓고 여자일 경우는 오른팔을 내어 놓는다. 입관후에는 정상으로 입는다.
※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옷을 제대로 입을 경황이 없었다는 뜻이 포함 되어있다.
※ 남좌여우(男左女右)란?
동양에서는 음과 양의 원리가 있어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이며, 남자는 방향에 있어 왼쪽을 동쪽으로 하여 양으로 표시하고, 여자는 오른쪽을 서쪽으로 하여 음으로 표시한다.
|
 |
|
 |
 |
|
|
|
|
|
|
|
|
|
|
|
|
|
| |